ETS에서는 버스의 KNX 텔레그램 기록/표시/분석/전송할 때, 그리고 컴퓨터에서 그룹 주소 값을 읽거나 전송할 때, 다음과 같은 3가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버스 모니터(Bus Monitor)
- ETS 버스 활동 모니터(ETS Bus Activity Monitor)
- 그룹 모니터(Group Monitor)
그룹 모니터(Group Monitor) 와 버스 모니터(Bus Monitor) 는 매우 유사하지만, 그룹 모니터에는 두 가지 추가 기능이 있습니다(아래 표 참조).
먼저 두 모니터 모두 (맨 위의 툴바(toolbar)에서) 올바른 버스 인터페이스를 선택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연결 설정 또는 변경은 오프라인 모드에서만 가능하며, 아직 기록이 시작되지 않은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모니터를 시작하려면 패널 유형을 '진단(Diagnostics)'으로 변경하거나, 혹은 패널 선택자(panel selector) 를 클릭하여 '진단' 패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버스 모니터(Bus Monitor)
버스 모니터는 모든 런타임 버스 텔레그램들을 완전히 기록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버스 모니터링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체적인 방식으로 버스에 접속해야 합니다. 즉, 버스 모니터링이 기록되는 동안에는 개별 주소를 확인하거나, 라인 스캔을 수행하거나,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장치를 검색할 수 없습니다.
ETS 버스 활동 모니터(ETS Bus Activity Monitor)
ETS 버스 활동 모니터(ETS Bus Activity Monitor) 는 설비와 접속 통로를 열어주지는 않지만, ETS가 생성한 접속 통로를 "수신(listen)"합니다. 이러한 연결이 만들어지면 이 모니터가 연결에 "결합"되고, 이 연결의 트래픽이 표시됩니다. 이 연결이 닫히게 되면, ETS 버스 활동 모니터(ETS Bus Activity monitor) 가 이 연결에서 분리됩니다.
ETS 버스 활동 모니터(ETS Bus Activity Monitor) 는 복수의 연결 활동이 이루어질 때, 어떤 연결이 어떤 이유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또한 ETS 버스 활동 모니터는 연결된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모든 유형의 인터페이스 및 직접적인 IP 연결, 그리고 로컬 USB를 통한 연결 등을 모두 모니터링합니다.
그룹 모니터(Group Monitor)
그룹 모니터( Group Monitor) 는 그룹 텔레그램의 기록과 분석 및 컴퓨터에서 보낸 그룹 주소의 값을 읽거나 보낼 때 필요합니다. 버스 모니터(Bus Monitor) 와 달리, 그룹 모니터(Group Monitor) 는 기록하는 동안 자체적인 버스 접속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즉 그룹 모니터(Group Monitor) 세션이 활성화되는 동안에도 개별 주소를 확인하거나, 라인 스캔을 수행하거나, 프로그래밍 모드에서 장치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ETS 모니터(ETS Monitors) 는 기록된 텔레그램 정보를 표 형식으로 보여 줍니다. 열의 너비와 배열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정보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 상단 필드에 입력된 필터 기준을 부합하는 정보만 모니터(Monitor) 에 표시됩니다.
메뉴 바
메뉴 항목 | 가능한 항목 | 상세정보 |
시작(Start)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모니터링 시작하기(Starts the monitor): 텔레그램의 기록 및 재생을 시작합니다. 텔레그램 기록 중에 '시작(Start)' 버튼이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
중지(Stop)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모니터링 중지(Stops the monitor): 텔레그램 기록 및 재생을 중지합니다. |
지우기(Clear)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윈도우 창의 모든 텔레그램을 지웁니다. |
가져오기(Import)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이전에 기록된 텔레그램을 가져오거나 엽니다. |
내보내기(Export)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모니터링이 현재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이전에 기록된 텔레그램을 저장하거나 내보냅니다. |
인쇄(Print)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인쇄 대화 상자(print dialog) 를 통해 선택한 텔레그램 또는 모든 텔레그램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보이는 열만 인쇄됩니다(가로 크기에 따른 퍼센트 비율 및 가로 출력 형식) |
텔레그램 재생하기(Replay telegrams) | 그룹(Group) | 이전에 (파일에서) 기록된 그룹 텔레그램을 재생시킬 수 있습니다. |
재생 중지(Stop Replay) | 그룹(Group) | 이전에 (파일에서) 기록된 그룹 텔레그램의 재생을 멈출 수 있습니다. |
옵션(Options) | 그룹(Group)/버스(Bus)/ETS 버스 활동(ETS Bus Activity) | 이 메뉴에서 트리거, 캡처 및 기록에 대한 모니터링 설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그룹 기능(Group Functions) | 그룹(Group) | 여러가지 옵션 설정을 통해 그룹 값을 쓰거나 읽을 수 있습니다(상세 내용은 추후 소개). |
창 메뉴(Window columns)
# | 텔레그램 카운터(Telegram counter) |
시간(Time) | 텔레그램 기록 시간(컴퓨터 시간) 이, (모니터링 옵션에 정의된) 해당 형식으로 표시됩니다. |
서비스(Service) | 버스 서비스 타입:
|
플래그(Flags) |
정보 제어:
|
우선 순위(Prio) | KNX 텔레그램 우선순위(KNX Telegram priority) |
발신지 주소(Source Address) | 발신지의 개별 주소 |
발신지 이름(Source Name) | (ETS 프로젝트 데이터에서 보낸) 발신지의 이름 |
발신지 설명(Source Description) | 발신지에 대한 설명. |
수신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
개별 주소/그룹 주소 모두 가능. 수신지 주소(Destination address) 의 다양한 변형 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ETS Monitors의 창 메뉴 플래그(Window column Flags) & 수신지 주소(Destination addres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신지 이름(Destination Name) | 수신지 이름 |
수신지 정보(Destination Description) | 수신지에 대한 설명 |
건물 기능 (Building functions) | 건물 기능의 이름 |
건축물 요소(Building Part) | 건축물 구성 요소의 이름 |
홉 수(Hop Count) |
이 열은 (당시) 텔레그램의 홉 수(hop count) 를 나타냅니다. 홉 수(hop count) 는 '라우팅 카운터(routing counter) 라고도 합니다. |
타입(Type) | KNX 텔레그램 APCI 서비스의 디코딩 |
데이터포인트 타입(DPT) | 데이터포인트 타입(DPT) |
정보(Info) | 그외 기타 KNX 텔레그램 데이터 정보 (메모리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
|
미디어 정보(Medium Info) | 미디어별 정보 (PL/RF에 사용됨) |
보안 | KNX Secure 텔레그램과 관련하여, 어떤 타입으로 취급할지에 대한 추가 정보(KNX IP Secure = 전송 보안, KNX Data Secure = 데이터 보안) |
상태 표시줄
모니터 상태 표시줄(monitor status bar)은 모니터 창(monitor window) 하단에서 찾을 수 있으며, '' 버튼을 클릭하고 표시된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모니터링 세션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선택되지 않은 경우, ETS가 가장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해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연결 관리자(Connection manager)를 참조하십시오).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모니터를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 정보가 표시됩니다:
- 장치 이름(Device Name)
- 개별 주소(individual addess)
- IP 주소(IP address: 해당되는 경우)
- 도메인 주소(Domain Address: 해당되는 경우)
- RF 모드(RF Mode: 해당되는 경우)
- 기록된 텔레그램의 양(Amount of recorded telegrams)
사이드바(Sidebar)
모니터에 특정 텔레그램을 표시해주는 방식으로, ETS는 텔레그램 정보를 확장된 형식으로 보여줍니다. 속성창의 표 머리말(header)을 클릭해서 다양한 속성들을 알파벳 순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버스 모니터링(Bus Monitoring) 및 그룹 모니터링(Group Monitoring) 의 사용 여부에 따라 아래와 같은 정보가 표시됩니다.
인지(Acknowledge) | 인지됨 / 인지되지 않음 |
APCI | 애플리케이션 계층 제어 정보(Application Layer Control Information): 애플리케이션 계층 메시지의 유형 |
플래그 승인(ConfirmFlag) | 참/거짓 |
데이터포인트 타입(DataPointType) | 데이터포인트 타입의 명칭 (프로젝트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할당되어 있는 경우) |
디코딩된 데이터포인트 값(DecodedDpValue) | 디코딩된 데이터 포인트 값(예: On, Off, Open, Close 등) |
수신지(Destination) | 개별 주소/그룹 주소 모두 가능. |
수신지 이름(DestinationName) | 그룹 주소 이름: 그룹 주소 이름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를 입력합니다. |
건물 기능 (Building functions) | 그룹 주소가 연결된 함수 이름을 표시합니다. |
건축물 요소(Building Part) | 함수 및 그룹 주소가 연결되어 있는 건물 요소의 이름을 표시해 줍니다. |
프레임 형식(FrameFormat) | 텔레그램 형식: 표준(Standard) / 확장(Extended) |
로컬 타입(LocalizedType) | 디코딩된 KNX APCI 텔레그램의 유형(읽기(Write), 쓰기(Read) 등…) |
RF 매체 정보(MediumInfoRF) | RF 도메인 주소 |
메시지 코드(MessageCode) | 서비스 유형 및 계층 유형 정보 |
우선 순위(Priority) | 낮음, 높음, 경보, 시스템 (Low, High, Alarm, System) |
미가공 데이터(RawData) | KNX 버스 텔레그렘의 미가공 데이터 (서비스 코드, 서비스 데이터로 구성된 cEMI형식이 버스의 텔레그램과 세부적으로 일치하지 않음) |
미가공 데이터포인트 값(RawDpValue) | 데이터포인트의 미가공 값 |
반복된 플래그(RepeatedFlag) | 반복: 참/거짓 |
라우팅 카운터(RoutingCounter) | 라우팅 카운터의 값 |
서비스(Service) | 버스로 발신/수신되는 작업 |
발신지(Source) | 발신지의 개별 주소 |
발신지 이름(SourceName) | 장치 이름: 장치 이름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 "-"를 입력합니다. |
시스템 방송 플래그(SystemBroadcastFlag) | 참/거짓 |
TPCI | 전송 계층 제어 정보(Transport Layer Control Information) |
정보
사이드바에 있는 속성 창(properties window) 의 '정보(Information)' 탭에서 추가 텔레그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속성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속 시간(Duration) | 기록의 총 지속 시간 |
버스 로딩(평균) (Bus load (avg.)) | 버스 로딩 평균 |
초당 텔레그램 수(평균) (Telegrams per second (avg.)) | 버스의 초당 평균 텔레그램의 수 |
텔레그램의 총 수 (Total telegrams) | 기록된 텔레그램의 총 수 |
반복된 텔레그램 (Repeated telegrams) | 반복된 텔레그램의 수 |
사용량 과다인 텔레그램 (Busy telegrams) | 사용량이 많은 텔레그램의 수 |
미승인된 텔레그램 (Unconfirmed telegrams) | 미승인된 텔레그램의 수 |
음성 확인된 텔레그램 (Negative confirmed telegrams) | 음성 확인된 텔레그램의 수 |
최상위 x 발신지 (Top x sender) | 버스에서 가장 많은 텔레그램을 보낸 장치의 발신지 및 전송 횟수 정보 |
최상위 x 그룹 (Top x group) | 가장 많이 사용된 수신지 주소(및 버스에 표시된 횟수 정보) |
사이드 바 하단에 '통계 생성하기(Generate Statistics)' 버튼이 있어, ETS 사용자는 기록 기간, 프로젝트 통계, 관련 발신자/수신자 및 그룹 통신 통계(누가 발송했으며 누가 발송하지 않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통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거나 모니터가 시작/중지될 때, 통계가 재설정되지 않습니다.
- 통계는 모니터의 기록 내용이 지워진 경우에만 재설정됩니다.